오쿠다이라 노부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쿠다이라 노부마사는 미카와 국 출신의 무장으로, 처음에는 오쿠다이라 사다마사로 불렸다. 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었으나 다케다 신겐에게 합류했다가, 다시 도쿠가와 가문으로 돌아와 나가시노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오다 노부나가로부터 '노부' 자를 받아 이름을 노부마사로 바꾸고, 이에야스로부터 영지를 받았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는 초대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하며 교토의 치안을 담당했다. 만년에는 가노 번을 다스리다 사망했으며, 나가시노 전투에서의 활약과 교토 쇼시다이로서의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쿠다이라씨 - 나가시노 전투
1575년 오다 노부나가-도쿠가와 이에야스 연합군이 나가시노 성에서 다케다 가쓰요리 군을 상대로 효과적인 철포 운용과 방어 전략을 통해 승리하며 전국 시대의 흐름을 바꾼 전투가 나가시노 전투이며, 3단 사격 전술의 실재 여부 등 전투에 대한 다양한 논쟁과 분석이 현재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다. - 오쿠다이라씨 - 가노번
가노번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오쿠다이라 노부마사에게 주어져 성립되었으며, 나가이 가문이 통치했고, 일본 우산 생산이 성행했다. - 1555년 출생 - 이복남
이복남은 1555년 강원도 명주 출신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활약하다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 1555년 출생 - 의인왕후
의인왕후는 조선 선조의 왕비로서, 박응순의 딸로 태어나 선조와 혼인했으나 자녀를 두지 못했으며, 임진왜란 중 광해군을 보살피고 46세에 사망하여 선조와 함께 목릉에 안장되었다. - 교토소사대 - 마키노 다다키요 (1760년)
마키노 다다키요는 1760년 나가오카 번주 마키노 다다히로의 아들로 태어나 가독을 상속받고 막부의 요직을 역임했으며, 치세 기간 동안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나 잦은 자연재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다 1831년에 사망했다. - 교토소사대 - 미즈노 다다유키
미즈노 다다유키는 에도 시대 하타모토에서 양자 입양 후 다이묘가 되었고, 아카호 낭인 사건 처리와 교호의 개혁에서 로주로서 활약했으나 백성들의 원성을 샀으며, 그의 생애는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오쿠다이라 노부마사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쿠다이라 노부마사 |
본명 | 사다마사 |
이명 | 규하치로 (유명) 사다마사 |
계명 | 규쇼인덴 타이운 도안 다이코지위 |
출생 | 1555년 |
사망 | 1615년 4월 11일 |
출신 가문 | 오쿠다이라 씨 |
묘소 | 미노국 가노의 세이토쿠지 (임제종 묘신지파) |
관직 | |
관위 | 종5위 하・미마사카노카미 |
직책 | 교토 쇼시다이 |
가계 | |
아버지 | 오쿠다이라 사다요시 |
어머니 | 마키노 나리타네의 딸 |
배우자 | 가메히메 |
자녀 | 이에마사 마쓰다이라 이에하루 다다마사 마쓰다이라 다다아키라 딸 (오쿠보 다다쓰네의 부인) |
친척 | 도쿠가와 이에야스 (장인) |
군사 경력 | |
소속 | 도쿠가와 씨 다케다 씨 오다 씨 동군 에도 막부 |
지휘 | 나가시노 성 가노 성 |
주요 전투 | 나가시노 전투 (1575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1584년) 우에다 성 공방전 (1600년) |
영지 | |
영주 | 고즈케오바타 번 번주 미노가노 번 번주 |
주요 활동 시기 | |
시대 | 센고쿠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번주 정보 | |
오바타 성 성주 (오쿠다이라 가) 임기 | 1590년 ~ 1601년 |
오바타 성 성주 (오쿠다이라 가) 후임 | 미즈노 다다키요 |
가노 성 성주 (오쿠다이라 가) 대수 | 1대 |
가노 성 성주 (오쿠다이라 가) 임기 | 1601년 ~ 1602년 |
가노 성 성주 (오쿠다이라 가) 후임 | 오쿠다이라 다다마사 |
교토 쇼시다이 정보 | |
교토 쇼시다이 대수 | 1대 |
교토 쇼시다이 임기 | 1600년 ~ 1601년 |
교토 쇼시다이 후임 | 이타쿠라 가쓰시게 |
2. 생애
오쿠다이라 노부마사는 1555년 미카와 지역에서 태어나 오쿠다이라 사다마사(奥平 貞昌)로 불렸다.[2] 오쿠다이라 사다요시의 아들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었으나 다케다 신겐에게 합류하기도 했다.
1573년 신겐 사후, 다케다 가쓰요리가 다케다 가문의 지도자가 되자 사다마사는 쓰쿠데 성에서 나와 다시 도쿠가와 가문에 합류했다. 이로 인해 가쓰요리는 인질로 잡혀있던 사다마사의 아내와 형제를 처형했다.[3]
도쿠가와는 노부마사에게 장녀 가메히메와의 결혼을 허락하고 나가시노 성을 주었다. 사다마사는 나가시노 전투의 전초가 된 나가시노 성 방어를 맡았다.[4] 가쓰요리는 15,000명의 병력으로 성을 공격했지만, 사다마사는 굳건히 버티며 도쿠가와-오다 연합군의 지원을 받았다. 오다 노부나가는 그의 용맹함에 감탄하여 '노부'라는 글자를 하사했고, 이후 노부마사로 이름을 바꾸었다.[2]
1590년, 이에야스가 간토 지방으로 이동할 때 노부마사도 함께 이동하여 고즈케 국 미야자키에 영지를 받았다.[2]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했다.[5] 1601년 임무를 마치고 미노 국 가노 번으로 전임되어 가노성을 건설하고 가노 덴만구 건립을 위탁했다.
1602년, 가노에서 은퇴하고 셋째 아들 오쿠다이라 타다마사에게 가독을 물려주었다. 1614년 오사카 전투에는 고령을 이유로 참전이 면제되었다. 1615년 노부마사는 가노에서 사망했다.[2]
2. 1. 초기 생애 및 가문 배경
오쿠다이라 노부마사는 1555년 미카와 국 쓰쿠데(지금의 아이치현 신시로시)에서 유력 고쿠진인 오쿠다이라 사다요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마키노 나리타네의 딸이다.[2] 처음 이름은 '''오쿠다이라 사다마사'''(奥平 貞昌)였다. 오쿠다이라 가문은 오쿠다이라 사다카쓰 대까지는 이마가와 가문을 섬겼으나,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휘하에 들어갔다.[2]1570년 아네가와 전투에서 노부마사는 적 2명을 베는 공을 세워 이에야스의 칭찬을 받았다.[6]
2. 2. 도쿠가와 가문으로의 귀순과 나가시노 전투
1570년, 다케다 신겐의 가신 아키야마 도라시게가 미카와 국을 침공했을 때, 노부마사와 그의 아버지 사다요시는 도쿠가와 가문을 배신하고 다케다 가문에 가담했다.[6] 157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오쿠다이라 가문을 다시 끌어들이기 위해 자신의 장녀 가메히메를 노부마사와 혼인시키고 영지를 주겠다는 제안을 했다. 노부마사는 이에야스의 제안을 받아들여 다케다 가문의 인질로 잡혀 있던 아내 오후와 이혼하고, 도쿠가와 가문의 가신이 되었다.[3]1573년, 다케다 가쓰요리는 오쿠다이라 부자의 배신에 분노하여 노부마사의 전처 오후를 포함한 인질 3명을 처형했다.[3]
1575년, 다케다 가쓰요리는 1만 5천 명의 군사를 이끌고 나가시노 성을 공격했으나,[4] 노부마사는 성을 굳게 지키며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의 지원군이 올 때까지 버텨냈다. 나가시노 전투에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이 승리한 후, 오다 노부나가는 노부마사의 공적을 치하하며 '노부(信)'라는 글자를 하사했고, 노부마사는 이름을 '노부마사'로 고쳤다.[2] 도쿠가와 이에야스 또한 노부마사에게 명검 다이한냐 나가미쓰를 하사하고, 그의 가신 12명에게도 특별한 대우를 보장했다.
2. 3. 도쿠가와 가문 내에서의 활약
1576년(덴쇼 4년) 7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장녀 가메히메가 노부마사와 정식으로 혼인했다.[10]1579년(덴쇼 7년) 7월 16일, 이에야스는 오다 노부나가에게 말을 선물했다. 이때 사카이 다다쓰구와 오쿠다이라 노부마사가 사자로 파견되었는데,[10] 이는 쓰키야마도노와 마쓰다이라 노부야스 살해 직전의 상황을 보고하기 위함이었다.
1582년(덴쇼 10년), 덴쇼 임오의 난에서는 사카이 다다쓰구와 함께 다케다 가문 잔당 토벌에 참여했다.
1584년(덴쇼 12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의 하고로 전투에서 노부마사는 사카이 다다쓰구의 선봉을 맡았다. 오쿠다이라 노부마사 군과 모리 나가요시 군은 강(고조 강으로 추정)을 사이에 두고 격렬한 총격전을 벌였다. 오쿠다이라 군의 조총 부대는 실력자들이 많아 모리 군을 압도하기 시작했다. 오쿠다이라 군은 1천 명 정도였지만 모리 군 중앙으로 돌입하여 농락했다. 이를 본 사카이 다다쓰구의 군대가 측면에서 모리 군을 공격하여 혼란을 가중시켰다. 『나가쿠테 합전기』 등의 군사 기록에 따르면, 이때 사카이 군과 오쿠다이라 군은 협력하여 "로쿠로비키(ろくろびき)"라는 전법으로 모리 군을 괴멸시켰다. 이 전법은 사카이 군과 오쿠다이라 군이 각각 좌우에서 돌격과 철수를 반복하여 적을 혼란시키는 방법이었다고 한다.[11]
같은 해 10월, 노부마사는 히가시미노의 도야마 씨 원군에 합류했다.[12]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모리 다다마사를 걱정하여 히가시미노로 급히 출진했으나, 히데요시가 오미국 사카모토에 도착했을 때 적이 철수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1585년(덴쇼 13년), 도쿠가와 가문의 가신 이시카와 가즈마사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망명하면서 군사 기밀이 유출되자, 이에야스는 다케다 신겐의 군제로 군제를 개혁했다. 노부마사는 이 군제 개혁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90년(덴쇼 18년) 7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간토로 이봉되자, 노부마사도 함께 간토로 이동하여 같은 해 8월 23일, 고즈케국 미야자키 3만 석을 받았다.
2. 4. 초대 교토 쇼시다이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노부마사는 본전에 참가했다. 전투 후, 교토의 치안 유지를 위해 초대 교토 쇼시다이에 임명되어 이듬해까지 임무를 수행했다.[5] 교토 쇼시다이 재임 중, 교토에 잠복 중이던 안코쿠지 에케이를 체포했다. 에케이가 소지하고 있던 단도 호초 마사무네는 노부마사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헌상했지만, 다시 노부마사에게 하사되었다. 한편, 우즈마사에 잠복해 있던 우키타 히데이에는 놓쳤다. 이시다 미쓰나리, 고니시 유키나가, 안코쿠지 에케이는 오사카와 사카이를 죄인으로서 끌려다닌 후 교토로 호송되어 노부마사의 감시 하에 놓였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에 따라 로쿠조가와라에서 참수되었다. 또한, 묘신지 주지 하쿠보 에이료가 미쓰나리의 적남 이시다 시게이에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노부마사를 통해 탄원했다.[2]2. 5. 만년
1601년, 세키가하라 전투의 공으로 미노 국 가노 번 10만 석으로 가증 전봉되었다.[2] 1602년, 노부마사는 은거하여 셋째 아들 오쿠다이라 다다마사에게 가독과 가노성 성주 자리를 물려주었다.1614년, 오사카 전투에는 고령을 이유로 참전이 면제되었고, 대신 그의 아들들이 참전했다. 시모쓰케 국 우쓰노미야 번에서 다다마사보다 오래 살았다. 1615년, 노부마사는 가노에서 사망했다.[2]
3. 평가 및 일화
나가시노 전투에서의 공적과 교토 쇼시다이로서의 치안 유지 능력을 높이 평가받았다.[13] 오이타현 나카쓰시의 오쿠다이라 신사에서는 매년 5월에 노부마사를 기리는 '다니시 축제'가 개최된다.[13] 노부마사는 오쿠야마 키미시게(오쿠야마 큐카사이)에게 오쿠야마류 검법을 배웠다고 전해진다.[14]
오사카 겨울의 진 때, 노부마사는 가신들에게 말을 팔도록 지시하며 화의가 성립될 것을 예측했다. 가신들이 의아하게 여겨 이유를 묻자, 노부마사는 "이번 겨울은 화의가 될 것이다. 오사카와 같은 명성을 즉시 공격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만약 즉시 공격이 시작된다면 이는 윗분의 잘못이다. 그러므로 말은 필요 없다"라고 답했다. 과연 노부마사의 말대로 오사카 겨울의 진은 강화가 되었고, 노부마사는 겨울의 진에서 가신들에게 말을 팔게 했지만, 귀진 후에는 모두에게 좋은 말을 사도록 지시했다.[15]
4. 등장 작품
- NHK 대하드라마
- * 도쿠가와 이에야스 (1983년), 배역: 와타나베 아츠시
- *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 (2000년), 배역: 키시모토 코
- * 어떻게 할까 이에야스 (2023년), 배역: 시라스 진
참조
[1]
웹사이트
Gouverneure von Kyôto in der Edo-Zeit.
https://uni-tuebinge[...]
Universität Tübingen
2008-04-11
[2]
서적
Nobiliare du Japon -- Okudaira, p. 47
http://www.unterstei[...]
2003
[3]
서적
Battles of the Samurai
Arms and Armour Press
1987
[4]
서적
The Samurai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77
[5]
서적
A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1996
[6]
문서
東照宮御実記附録引奥平譜、貞享紀伊家書上
[7]
서적
『城郭と城下町3 東海』
小学館
1983
[8]
간행물
武田氏の駿河支配と朝比奈信置
岩田書院
2001
[9]
간행물
三河国衆奥平氏の動向と態様
岩田書院
2014
[10]
문서
信長公記
[11]
서적
小牧・長久手合戦 秀吉と家康、天下分け目の真相
角川新書
[12]
서적
小牧・長久手合戦 秀吉と家康、天下分け目の真相
角川新書
[13]
웹사이트
奥平信昌
https://www.city.shi[...]
新城市
2020-03-30
[14]
문서
東照宮御実記附録引奥平譜、貞享紀伊家書上
[15]
문서
武功雑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